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 영화의 제목이 아이들이 아닌 이유, <우리들>

맥주와 팝콘-Movie

by 다락방지기 2016. 7. 5. 19:24

본문

오랜만에 새 글입니다.

부지런하지 못한 성격 덕에 늘 이렇게 오랜 기간을 두고 포스팅을 하는 듯하네요.

오늘의 포스팅은 바로 <우리들>이라는 영화입니다.

파스텔톤으로 사진인 듯 그림인 듯 만들어진 이 포스터의 감각적인 만듦새를 보고 이 정도라면 영화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어
별다른 내용을 찾아보지도 않고 무작정 극장으로 나섰는데 덕분에 참 좋은 영화를 만나고 돌아온 것 같습니다.


한국영화의 거장 이창동 감독의 기획총괄 참여작

윤가은 감독의 영화이며 거장 감독 이창동 감독이 기획 총괄로 참여해 화제가 된 영화라고도 합니다. 이창동 감독이 연출에 대한 참여를 했는지 여부는 모르겠지만 이창동 감독의 전작 <시>와 맞닿아 있는 듯한 느낌입니다. (이야기가 아니라 느낌이요~) 하지만 여성감독의 세심한 연출이 더해져서인지 일상을 그려냈음에도 색채가 참 화사하고 따뜻한 느낌이었습니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영화 속의 공간들인데요. 학교도 집도 과장되지 않고 정말 우리들이 다니고 살고 있는 학교와 집의 모습이 그대로 담겨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너무 과장되게 꾸며지고 만들어진 인위적인 공간들을 너무 많이 봐와서였는지 별거 아닌 공간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참 좋더라구요.

외톨이 선이에게 기적처럼 다가온 전학생 지

주인공 이 선은 학교에서 늘 외톨이였습니다. 이를 보여주고자 첫 장면은 체육시간 피구경기를 위해 편을 가르는 모습 속 외톨이처럼 동떨어진 선이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이런 외톨이 선이에게 기적처럼 전학생 지아가 나타납니다. 게다가 지금은 방학! 덕분에 둘은 우정을 쌓아가며 절친이 됩니다. 하지만 이내 개학이 다가오고 선이가 따돌림의 대상임을 알게된 지아는 선이를 멀리하게 되고 선은 지아와의 관계 회복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입니다.

선이와 지아의 손에 물든 봉숭아

영화 내내 다루어지고 포스터에도 그려진 봉숭아물은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이혼으로 외톨이 같은 지아는 엄마와 다정한 선이의 모습이 부럽기만하고 이를 가시 돋힌 시기로 표현해냅니다. 선이의 엄마가 정성스레 싸준 오이김밥을 먹지 않고 집이 덥다고 타박하고 심지어 자신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선이에게 면박을 주기도 하는 등 지아의 가시 돋힌 행동들은 곧 선이네 화분의 꽃들을 떨구는 장면으로 은유됩니다. 하지만 지아가 좋은 선이는 지아가 떨궈낸 봉숭아 잎을 정성스레 모아 지아의 손에 물을 들여주고 지아의 마음 속 상처를 치유해보고자 노력합니다. 선이의 마음이 지아에게 물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듯 말이죠. 이후에도 손톱에 물든 봉숭아물은 선이의 심리를 표현하는데 여러모로 사용됩니다. 지아와 사이가 멀어지는 것이 손톱에서 봉숭아물이 조금씩 사라지는 것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마지막에 선이가 지아에게 다시 한번 다가고자 용기를 낼때도 감독은 선이의 손톱 끝에 남은 봉숭아물을 클로즈업해 잡아내는 등 선이의 미묘하고 복잡한 감정들을 봉숭아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럼 언제 놀아? 나는 놀고 싶은데 

맨날 친구에게 맞고 돌아오는 동생의 멍을 보고 화나서 한대 때려주지 뭐했냐는 타박을 듣고 윤이는 말합니다. "서로 때리다보면.. 그럼 언제놀아? 나는 놀고 싶은데." 그랬습니다. 단순한 것이었습니다. 둘 중에 한발짝 물러서는 사람이 없다면 또 그것을 표현해주지 않으면 싸움은 끝이 없을 겁니다. 내 진심은 상대를 혼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고 싶은 것에 있을테니까요. 선이와 지아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아주 중요한 힌트가 되기도 했지만 영화를 보는 우리들에게도 참 필요한 조언인 것 같아요. 사진도 이 영화의 주역 강스타 강민준답죠~~!!!



마음만으론 부족해 그래서 대화가 필요해

주인공 이선과 한지아를 포함한 모든 인물들에게 있어 소통은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이것은 어려움에 처한 상황일때 더 격하게 나타나는데요. 학교에서 왕따로 시달리면서도 집에 와서는 굳게 입을 다무는 선이와 자신의 아버지와 갈등 하며 이를 누구에게도 터 놓지 않고 오로지 술로만 마음을 달래는 선이의 아버지의 모습에서 이것은 더 극적으로 드러납니다. 결국 이러한 불통은 아버지가 알콜중독자라는 소문으로 까지 확대되며 폭발하는 장치가 됩니다. 이렇듯 이 영화는 모든 인물에게 있어 마음만으로는 부족하다라는 메세지를 끊임없이 던지는 듯 합니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침상을 바라보며 눈물 흘리는 선이의 아버지의 모습은 체육시간 선이의 용기있는 한마디 ‘말’로 인해 변화한 선이와 지아와의 모습과 대비됩니다. 감독은 마음 그 자체는 소중한 것이지만 그것만으로 상대를 변화시키는 것은 힘들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게 아닐까요. 따뜻한 말 한마디면 모든게 해결되는데 그걸 몰랐던 선이처럼 말이죠.



이 영화의 제목이 아이들이 아닌 우리들인 이유

  소통하지 않고 표현하지 않고 혼자 끙끙 앓으며 내 마음이 전해지지 않음에 상대를 탓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떠오르지 않으셨나요? 혹시 이 영화를 보시고 소녀들의 작은 투닥거림이 영화의 전부라고 생각하셨다면 조금만 더 넓게 봐주시길 권합니다. 아마도 그래서 이 영화의 제목은 아이들이 아니라 우리들이 아닐까 싶거든요. 2016년 본 영화 중 가장 인상깊었던 영화를 꼽으라면 저는 단연 이 영화 <우리들>을 꼽고 싶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이 영화의 가치를 인정 받아 베를린, 체코 등의 영화제에도 초청 받은 듯하더라구요. 보다 더 많은 '우리들'에게 이 영화 '우리들'이 전해지길 바라보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칠까 합니다.



관련글 더보기